오늘은 K아파트와 K아파트의 유용한 기능을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K아파트란?
2. K아파트의 유용한 기능
1) 내가 사는 아파트의 평균 관리비등 알아보기
2) 내가 사는 아파트와 다른 아파트의 평균 관리비등 비교해 보기
3) 내가 사는 아파트의 공사 이력 확인하기
3. 결론
1. K아파트란?
주무부처 국토교통부, 한국부동산원에서 운영하는 공동주택관리시스템의 이름입니다.
공동주택관리시스템은 공동주택관리비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건전한 관리문화 정착을 위해
의무관리대상 공동주택의 관리비등과 유지관리이력, 입찰정보, 외부회계감사 결과 등의
공동주택관리 정보를 공개하고, 전자입찰을 운영하는 시스템입니다.
*본인이 사는 아파트가 의무관리대상 공동주택이 아닌 경우,
해당 정보를 등록하여야 하는 대상이 아니므로, 확인이 불가합니다.
의무관리대상 공동주택이란 아래의 5호 중 하나에 속하는 공동주택을 말합니다.
1. 300세대 이상
2. 150세대 이상 + 승강기
3. 150세대 이상 + 중앙집중식 난방
4. 주상복합 + 주택이 150세대 이상
5. 위 1~4호에는 해당이 없지만, 해당 공동주택 입주민등의 2/3 이상이 의무관리대상으로 하는 것에 서면 동의한 경우
*2023년 8월 기준, 전국 18,373개 단지가 의무관리대상 공동주택입니다.
공동주택에서 위의 정보를 공개하여야 하는 근거는, 아래의 공동주택관리법에 있습니다.
공동주택관리법 제23조(관리비 등의 납부 및 공개) 4항에 관리주체는 관리비등을 공동주택단지 인터넷홈페이지 및 동별게시판과 국토교통부장관이 구축 및 운영하는 공동주택관리시스템에 공개하여야 한다.
공동주택관리법 제26조(회계감사) 회계감사 완료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회계감사 결과를 해당 공동주택 관할 시군구청장에게 제출하고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에 공개하여야 한다.
공동주택관리법 제88조(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 등) 국토교통부장관은 공동주택관리에 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공동주택관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고, 이에 관한 정보를 관련 기관 및 단체에게 제공할 수 있다.
2. K아파트의 유용한 기능
1) 내가 사는 아파트의 평균 관리비등 알아보기
K아파트의 유용한 기능 중 하나는 전국의 모든 의무관리대상 공동주택의 평균 관리비등을 알아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관리비등에는 관리비, 장기수선충당금, 개별사용료 등이 있습니다.
아래 단지의 경우, 단지 관리비등 총액은 70,136,027원이고, 1㎡ 당 관리비등은 2,877원입니다.
내가 사는 세대 전용면적이 85㎡의 경우, 월평균 관리비는 244,545원입니다.
또한, 전년 동월 대비 525원이 올랐고, 전월 대비 332원이 올랐습니다.
오른 원인은 공용관리비, 개별사용료, 장기수선충당금 등을 클릭해서,
세부 내역을 살펴보면 파악할 수 있습니다.
총 관리비 수준은 별 2개로 다소 높은 편이고, 개별사용료는 별 3개로 보통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세대별 부과내역은 공개하지 않습니다.
2) 내가 사는 아파트와 다른 아파트의 평균 관리비등 비교해 보기
아래와 같이 내가 사는 아파트와 다른 아파트의 관리비등을 세대 전용면적(㎡기준) 구간별로 비교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특히 내가 사는 아파트와 세대 구성과 전체 전용면적 구성이 비슷한 인근 아파트를 비교할 때 유용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아래의 경우, 세대수 및 승강기 대수, 청소인원, 관리인원의 수에 차이가 있습니다.
*그림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승인일, 난방방식, 세대규모도 표시가 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래의 경우 좌측 내가 사는 아파트의 ㎡당 관리비등의 단가는 2,877원이고,
비교 대상 아파트의 관리비등의 단가는 2,989원으로,
내가 사는 아파트의 ㎡당 관리비등의 단가가 112원 저렴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내가 사는 아파트의 공사 이력 확인하기
아래와 같이, 내가 사는 아파트에서 어떤 공사를 하였는지 이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건물 외부, 내부, 전기, 소화, 승강기, 급수, 위생, 가스 등
공사 비용에 관계없이, 모든 공사를 등록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관리비등 중 어떤 비용으로 어떤 공사를 누가 언제 하였는지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공사의 경우, 육하원칙에 맞추어 설명을 드리지면,
천일건설(주)에서 2019년 4월 29일에서 2019년 7월 15일까지,
전체 동 내벽 전면 도장 공사를 수성도료칠로 5년 주기 장기수선계획에 따라,
장기수선충당금을 사용하여 완료하였음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 결론
소중한 나의 관리비가 어떻게 얼마나 나오고 있고,
어디에 어떻게 쓰였는지 확인하고 싶으신 분은,
아래의 K아파트 링크를 클릭하시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K-apt 공동주택관리시스템
우리단지 관리현황
www.k-apt.go.kr
다음 시간에도 주택관리사와 관련한 유용한 정보로 인사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택관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경기능사 알아보기, 조경기능사 준비하기 (0) | 2023.08.30 |
---|---|
관리사무소 계약직 실업급여 조건 정리, 관리사무소 계약직 실업급여 받는 방법 (0) | 2023.08.25 |
공동주택관리규약 준칙, 위수탁관리계약서의 주택관리업자 의무 (0) | 2023.08.15 |
공동주택 관리규약과 관리규약준칙의 관계, 관리규약의 법적 효력 (0) | 2023.08.13 |
주택관리업자 및 사업자 선정지침, 제출서류 개정 알아보기 (0) | 2023.08.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