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택관리사49

아파트 위탁관리 운영방식, 관리소장 해고 원인 알아보기 오늘은 아파트 위탁관리의 운영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알아보고, 위탁관리 하에서 관리소장이 교체되는 원인을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위탁관리의 운영 방식 2. 관리소장 교체 원인 3. 결론 1. 위탁관리의 운영 방식 2022년 기준으로, 전체 아파트의 88%가 위탁관리 방식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위탁관리는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가 위탁관리회사에게 관리를 위탁하고, 위탁관리회사는 직원을 채용하여 아파트로 파견하여, 파견된 직원들이 아파트를 관리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관리사무소 직원은 관리소장, 경리주임, 시설과장, 시설주임이 있습니다.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에서 최초로 위탁관리를 결정하는 경우, 경쟁입찰 방식을 통해서 위탁관리업체를 선정하게 됩니다. 위탁관리 계약기간은 보통 2년 내지 3년이 됩니다. 위탁.. 2023. 8. 6.
대구광역시 공동주택 관리규약 준칙 개정, 주요 개정 사항 ‘공동주택 관리규약’은 공동주택의 입주자등을 보호하고, 주거생활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서, 입주자등이 정하는 자치규약을 말합니다. *입주자등이 자치규약 전부를 새로 만들 수 없으니, 참고할 수 있는 준거 규약이 필요하고, 이 준거 규약을 '공동주택 관리규약 준칙'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시·도지사는 ‘공동주택 관리규약’의 준거가 되는 ‘공동주택 관리규약 준칙’을 정하여야 합니다. 예를 들면, 대구광역시에서는 대구광역시장이 ‘공동주택 관리규약 준칙’을 정하고, 개정 또한 대구광역시장이 하여, 개정된 관리규약의 준칙을 대구광역시 홈페이지에 공개합니다. 오늘은 2023년 7월 21일 개정된 대구광역시 ‘공동주택 관리규약 준칙’의 주요 개정 사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주요 개정 사항 이번에 개정된 주요 .. 2023. 8. 1.
주택관리업자 및 사업자선정지침, 제2023-341호, 개정 내용 오늘은 최근 개정된 주택관리업자 및 사업자선정지침[국토교통부 고시 제2023-341호]에서 개정된 내용 및 자주 놓치는 부분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목차 1. 주택관리업자 및 사업자선정지침 개정[국토교통부 고시 제2023-341호](2023년 6월 22일 일부개정) 2. 제출서류 3. 기타 자주 실수하는 부분(과도한 자격제한, 공고기간) 1. 주택관리업자 및 사업자선정지침 개정[국토교통부 고시 제2023-341호](2023년 6월 22일 일부개정) 주택관리업자 및 사업자선정지침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3-293호](2023년 6월 13일)가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3-341호](2023년 6월 22일 일부개정)로 9일 만에 다시 개정되었습니다. 많은 소장님들께서 이 개정에 대해서 모르고 계시는 경우가 .. 2023. 7. 23.
주택관리업자 및 사업자선정지침, 계약이행보증 금액, 기간 오늘은 [주택관리업자 및 사업자 선정지침]에서 하자보수보증금의 예치율과 관련이 있는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의 내용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목차 1. 하자보수보증금 예치율 2. 하자담보책임기간(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 3. 하자보수보증금을 납부하지 않아도 되는 공사 1. 하자보수보증금 예치율 [주택관리업자 및 사업자 선정지침]의 공사 하자보수보증금의 예치율은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의 시행령]에서 정하고 있음 이에 따른 공사 하자보수보증금 예치율은 계약금액의 100분의 2 이상 100분의 10 이하에서 정하여야 함, 그래서 실무상 10%로 진행하는 경우가 대부분 2. 하자 담보책임기간(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 공동주택관리법 시행령에 따른 내력구조부별(건물의 주요 구조물) 하자.. 2023. 7. 16.